반응형
사람마다 귀 내부 모양이 10인 10색 다르기 때문에 보청기라는 것은 맞춤형으로 제작을 하게 됩니다. 귓본을 토대로 제작에 들어간 보청기를 사용자가 사용하다 보면 초기에 귀에 잘 맞지 않는 경우들이 가끔씩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두번 세번 작업을 다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에는 사용자의 귀 내부 모양, 귓본 자체 문제 등이 결부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이처럼 보청기가 귀에 맞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 그 원인을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은 보청기 문제점에 대해서 가장 문제가 발생하는 6가지 케이스입니다. 귓본을 토대로 보청기 안착 형태(주황색)를 그림으로 도식화하였습니다. 보청기가 잘 맞지 않는다고 고객/환자가 컴플레인 하는 문제로 삽입시 문제, 리텐션 문제, 편안함 문제, 피드백 문제, 리시버 방향 문제, 돌출되는 문제로 이 유형들이 가장 두드러지게 발생되는 내용들입니다.
이런 유형에 해당 된다면 아무리 보청기 피팅을 완벽하게 한다하더라도 그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에 사용상 불편함은 지속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A는, 귓본(Ear impression)의 모양을 100% 그대로 재현(복사)한 것처럼 보청기를 제작하게 되면 귀 안에 보청기 자체가 삽입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들어간다 하더라도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젊은 사용자 분들을 가까스로라도 손을 잘 사용해서 삽입을 할 수 있으나, 삽입 후 얼마있지 않아 뻐근함이 귀와 그 주변 부위에 전달됩니다. 60세 이상 나이드신 사용자들의 경우 손놀림(dexterity)문제가 용이 하지 않다면 혼자서 착용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다시 재제작을 하지 않는다면 아예 보청기를 사용 하지 않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 이상적인 귓본과 이를 토대로 만들어진 보청기는 어떠한 요인을 고려해야 할까요?
위 그림과 같은 모양이 아주 이상적인 형태입니다.
1. 귀에 쉽게 삽입되고 착용 후 편안함을 고려하여 카날의 끝 부분(레시버 방향)은 다듬어져야 합니다.
2. 외이도 영역과(귓 구멍)과 쉘의 표면은 피드백의 경로가 발생하지 않게 잘 막아져야 합니다.
3. 귓본(이어몰드)의 중간 영역에는 반드시 보청기가 밀려나오지 않게 리텐션 영역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오늘 포스팅한 내용은 The Hearing Review Vol17 No5 May 2010 에 실린 "Earmold Retention Issues: Why Does This Earmold Keep Falling Out? 의 내용과 브라이언송의 임상경험을 추가하여 재 작성한 자료입니다.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웨이브히어링 | 송욱 |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56 운현하늘빌딩 2층 | 사업자 등록번호 : 101-86-84215 | TEL : 02-736-9966 | Mail : 08rose@hanmail.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16-서울종로-0885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보청기_피팅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청기 학습자료] 귓본 채취 후, 리텐션 영역 확인해보기 (0) | 2010.07.07 |
---|---|
[보청기 학습자료] 귓본을 토대로 한 보청기 사이즈별 리텐션 영역이 다르다. (0) | 2010.07.06 |
[웨이브히어링] 귓본(이어몰드)의 해부학적 명칭 알아보기 (0) | 2010.07.03 |
보청기 소리조절(피팅)에 대한 맥을 짚는 가이드 (0) | 2010.06.03 |
간편하게 전화로 보청기 음질만족도 올리는 방법(Telehealth Fitting 방법) (0) | 2010.06.02 |